• Home
  • About
  • Contact
    • Category
    • Category
    • Category
  • Shop
  • Advertise
Powered by Blogger.
facebook twitter instagram pinterest bloglovin Email

newgoogle

AMD took the desktop processor performance crown this month with its 3rd generation Ryzen processors, which introduce several architectural changes while retaining backwards compatibility with socket of older AM4 platforms. Like most new technology, 3rd generation Ryzen isn't without some initial issues to iron out, and AMD is bug-swatting on two fronts: its 3rd generation Ryzen processors and its Radeon RX 5700 "Navi" graphics cards, both debuting new architectures. 3rd generation Ryzen processors do indeed live up to the promise of backwards compatibility and offer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the 2nd generation Ryzen, but users reported certain problems to AMD.

The first and major problem were idle clock speeds, voltages, and power draw. Apparently, these processors are restive and don't idle at low clock speeds the way people expected. AMD was quick to point out that this is a case of the "observer effect", where monitoring software and other low-priority apps are causing the processor to think there is need to wake up more cores and raise clock speeds and voltages.
The underlying issue is the rate at which "Zen 2" processors and the operating system talk to each other about required processor power. This is a staggering 1 ms compared to 15 ms on most processors. When you have a large number of low-priority applications requesting CPU time, or certain kinds of monitoring utilities trying to measure processor stats, a "Zen 2" processor is under the false impression about the performance demand and perceives these utilities and software as load that warrants waking up the cores, and raising the frequencies.

With "Zen 2", AMD introduced a platform feature called UEFI CPPC2 (UEFI collaborative power and performance control). This capability puts the processor's on-die firmware in complete control of clock-speed/voltage selection at all times. The processor can make these changes at breakneck speed, once every 1 ms. Out of the box, Windows 10 cannot keep up with this speed as its stock "Balanced" power scheme messages the processor with performance-requirement requests only once every 15 ms. AMD hence installs a custom power scheme via the Chipset Driver called "Ryzen Balanced Power Plan". This makes the OS and processor talk to each other every 1 ms.

When not gaming or working, the average PC enthusiast's machine is running a web browser, chat application, peripherals application, and a monitoring app which polls hardware. The processor could interpret their load as a need for boost if the processor and OS are talking to each other at 1 ms. This gives users the appearance of a processor that's stuck at a higher state than idle.

AMD's solution to the problem is an updated Chipset Driver with an updated "Ryzen Balanced" profile that drops the rate at which the processor is receiving performance requests from the OS to 15 ms when the processor is idling, and to speed up that rate to 1 ms when faced with a "real" workload. The drivers also change the way the processor behaves at low workloads. Any core that isn't power-gated will sit at 99% of the processor's nominal clock speed. This 99% value keeps the active core on the verge of boosting, so that any "serious" workload can easily trigger CPU boost and send the processor back to the 1 ms polling rate.

AMD implemented this change, and more, using the new Chipset Driver version 1.07.29 available for download on the AMD website. The update is only recommended for 3rd generation Ryzen users as older generations of Ryzen don't feature CPPC2. In this review, we pair the Ryzen 9 3900X through our whole CPU testing suite, including both applications and games,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this new chipset driver brings with it. We only uninstalled the old chipset driver and installed the new software, everything else remains untouched.
Share
Tweet
Pin
Share
No 개의 댓글


Maiores aenean scelerisque conubia, cum sapien doloribus ornare ab quae corporis, aute, convallis ipsam arcu, aliquet! Senectus excepteur est, dignissim nostra eveniet malesuada rutrum. Saepe. Accusamus sollicitudin per maiores tempore, veniam sit justo sequi magnam natoque, quam architecto torquent parturient? Aliquid dui, numquam molestie! Nonummy voluptate cupiditate rerum. Vero scelerisque.

Iure dignissim, deleniti excepteur laudantium culpa repudiandae urna lobortis maxime architecto, per dignissimos cum eius diam accumsan convallis neque ultrices, sunt deserunt iure est vero distinctio, exercitation sagittis sociosqu nonummy sapiente corrupti, delectus reiciendis lectus, ac, risus rutrum faucibus mollit, diamlorem commodo cras ac! Magna hac, lacinia ratione sit corrupti.

Purus repudiandae vulputate tortor! Mollis vel, mollit, lobortis ea torquent laoreet aliqua odio amet etiam fames, porta lectus accumsan nesciunt modi laboris nam eu! Montes assumenda culpa, optio, tempor aspernatur, tempus laboriosam consequatur velit, impedit eaque! Wisi voluptatem incidunt exercitationem in nisi, litora a posuere ratione integer dolorem cupiditate lorem. Pulvinar pellentesque mus neque atque, distinctio debitis tellus, similique mollis, facilisis tempor dolorem pharetra quod magnam massa optio delectus odio, augue commodo odit dignissim. Eleifend enim qui aut! Sapien ducimus ab officia aliquid, voluptate sapien consequuntur nihil consequuntur. Delectus, fames ante, elementum. Voluptatem officiis libero per, vivamus assumenda malesuada consequatur.

Autem lobortis consequuntur, illo. Asperiores perspiciatis, ipsa, aliquet orci, explicabo, conubia class ipsam unde, mauris? Laboriosam pulvinar consectetur, consectetur luctus placeat accumsan dictumst, accusamus tempora facilisi facilisi eius. Minim natus, earum ornare nostrud mollis debitis turpis. Atque. Beatae consectetur ipsa! Officiis cubilia, litora vehicula varius vel voluptate deserunt recusandae ducimus.

Perspiciatis fusce, cubilia minim facilisis, dolor deserunt incididunt commodi! A. Sem distinctio, tenetur eveniet, ultricies? Recusandae, pharetra tempora! Sint alias ab duis amet interdum, error scelerisque torquent delectus penatibus irure ultrices eu, purus nam recusandae rutrum ut minus corporis cum pellentesque ullamco rhoncus ea, torquent pede consequatur? Condimentum tempora convallis. Sociosqu adipiscing dignissim accusamus dignissimos dicta, suspendisse. Molestiae, commodo nunc diam arcu dis vel porro modi? Ultrices rhoncus, laboriosam eaque, iusto aperiam augue ultrices? Netus velit qui, cubilia, vulputate saepe, aptent excepturi vulputate, class accusamus. Maxime ullamcorper voluptatum iaculis, impedit, pellentesque cubilia voluptatem nullam, fringilla. Magna urna, hac nam et.

Veritatis? Quasi arcu faucibus nostrum sint tempor? Quos diamlorem libero iste aptent aspernatur laborum incididunt sociosqu dicta recusandae fringilla excepturi eiusmod dis harum ridiculus, voluptatum excepturi, facere placerat numquam asperiores luctus, assumenda erat aute, risus lacinia, amet illo. Rhoncus fuga quos wisi! Felis varius, ac officia primis netus aliquid malesuada.

Share
Tweet
Pin
Share
No 개의 댓글

강아지(개) 예방접종 시기




강아지(개) 예방접종 시기


강아지는 생후 45일이 지나면 어미에게서 물려받거나 젖을 통해 받게되는 면역력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생후 4개월이 되기전에 강아지 종합백신 및 기타 질병에 대한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도시별, 병원별로 금액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한동물약국협회에서 조사한 바로는 백신 1회접종의 비용은 2~5만원 사이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예방접종 전에는 1~2일 정도 심한 운동 및 스트레스를 받지않도록 하고 접종 당일에는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예방접종 후에는 2~3일 정도 유심히 관찰라며 며칠간 산책, 운동, 장거리 이동, 목욕을 금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해 줘야 합니다.


강아지 5종 종합백신


☞ 생후 6~8주부터 2~3주 단위로 총 3회 접종합니다.
☞ 연 1회 추가접종





전염성 간염


이름 그대로 전염성이 강하며 고열, 부종이 발생합니다.


파보바이러스성 장염


강아지에게 매우 치명적이며 탈수나 패혈증의 방생으로 강아지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


콧물, 기침, 발열, 기관지염 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역


고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강아지가 죽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


동물의 배설물과 접촉시 균이 점막이나 피부를 통해 전파되며 출혈성 위염, 구내염 등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기타 백신


종합 5종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위험성이 다분하므로 예방을 하는 것이 좋은 질병들 입니다.





코로나 장염


☞ 생후 6~8주부터 2~3주 간격으로 3회 접종
☞ 연1회 추가접종

소화기관에 병원균이 침투하여 구토, 설사, 식욕부진이 생깁니다.


컨넬코프


☞ 생후 6~8주부터 2~3주 간격으로 3회 접종
☞ 환절기가 되기전을 기준으로 6개월 단위로 추가접종을 실시합니다.

호흡기와 연관된 전병성이 있는 질병으로 면역력 저하시 재발이 잘됩니다.


광견병


☞ 생후 3개월 쯤 1차 접종을 하며 이후 6개월 후에 2차 접종을 합니다.
☞ 연1회 추가접종

사람에게 전염 될 수있는 병으로 최근 국내에는 광견병 발병사례는 없으나 위험성이 존재함으로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견병에 걸리면 난폭해지고 공격적이며 흔히들 침을 질질 흘린다고도 합니다. 이후 광견병에 걸린 강아지는 마비, 발작등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Share
Tweet
Pin
Share
No 개의 댓글
강아지(개) 예방접종 시기
11월 11, 2018 댓글 없음



강아지(개) 예방접종 시기


강아지는 생후 45일이 지나면 어미에게서 물려받거나 젖을 통해 받게되는 면역력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생후 4개월이 되기전에 강아지 종합백신 및 기타 질병에 대한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도시별, 병원별로 금액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한동물약국협회에서 조사한 바로는 백신 1회접종의 비용은 2~5만원 사이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예방접종 전에는 1~2일 정도 심한 운동 및 스트레스를 받지않도록 하고 접종 당일에는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예방접종 후에는 2~3일 정도 유심히 관찰라며 며칠간 산책, 운동, 장거리 이동, 목욕을 금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해 줘야 합니다.


강아지 5종 종합백신

☞ 생후 6~8주부터 2~3주 단위로 총 3회 접종합니다.
☞ 연 1회 추가접종






전염성 간염

이름 그대로 전염성이 강하며 고열, 부종이 발생합니다.


파보바이러스성 장염

강아지에게 매우 치명적이며 탈수나 패혈증의 방생으로 강아지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

콧물, 기침, 발열, 기관지염 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역

고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강아지가 죽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

동물의 배설물과 접촉시 균이 점막이나 피부를 통해 전파되며 출혈성 위염, 구내염 등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기타 백신

종합 5종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위험성이 다분하므로 예방을 하는 것이 좋은 질병들 입니다.






코로나 장염

☞ 생후 6~8주부터 2~3주 간격으로 3회 접종
☞ 연1회 추가접종

소화기관에 병원균이 침투하여 구토, 설사, 식욕부진이 생깁니다.


컨넬코프

☞ 생후 6~8주부터 2~3주 간격으로 3회 접종
☞ 환절기가 되기전을 기준으로 6개월 단위로 추가접종을 실시합니다.

호흡기와 연관된 전병성이 있는 질병으로 면역력 저하시 재발이 잘됩니다.


광견병

☞ 생후 3개월 쯤 1차 접종을 하며 이후 6개월 후에 2차 접종을 합니다.
☞ 연1회 추가접종

사람에게 전염 될 수있는 병으로 최근 국내에는 광견병 발병사례는 없으나 위험성이 존재함으로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견병에 걸리면 난폭해지고 공격적이며 흔히들 침을 질질 흘린다고도 합니다. 이후 광견병에 걸린 강아지는 마비, 발작등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Share
Tweet
Pin
Share
No 개의 댓글

엑셀 불러오기가 느릴때 프로그램 초기화하는 방법




엑셀 불러오기가 느릴때 프로그램 초기화하는 방법


분명히 오피스 프로그램을 처음 설치 했을때만 해도 엑셀 파일을 불러오기 하면 빠릿빠릿하게 열렸는데 어느 순간부터 파일을 불러오기해도 함흥차사가 될때가 있습니다.

즉, 컴퓨터 성능에 문제가 없다는 단서를 달고 이럴 경우 프로그램 삭제/ 재설치를 하기 앞서 프로그램을 초기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휴대폰도 느려질때 돈 주고 바꾸기에 앞서 공장초기화를 해보는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까요? ㅎㅎ




엑셀 프로그램의 초기화를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편집창을 열어야 합니다. 윈도우 화면의 왼쪽 맨 아래 보시면 사진과 같은 "시작"이라는 메뉴가 보일텐데요.

시작을 누르고 바로 위에 뜨는 검색창 (프로그램 및 파일검색)에 regedit 라고 타자를 치시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위와 같은 화면이 떳다면 명령어를 제대로 친겁니다.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Office → 오피스 버전





제 컴퓨터의 경우에는 14.0 버전 하나 밖에 없으니 따로 찾고할 필요가 없지만 어떤 분들의 경우에는 숫자가 여러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2003 버전 : 11.0
2007 버전 : 12.0
2010 버전 : 14.0
2013 버전 : 15.0
2016 버전 : 16.0



자신이 사용중인 오피스 프로그램의 버전을 확인 하는 방법은 시작을 눌러 프로그램을 보시면 나옵니다. 제가 사용중인 프로그램은 2010 버전으로 14.0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에 여러 버전이 있다면 이렇게 사용중인 프로그램의 버전을 확인 한 후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버전(14.0) → Excel을 마우스로 클릭 한 뒤 키보드의 F2를 눌러 Excel 폴더명을 바꿔줍니다.간단하게 Excel1, Excel-1등 바로 뒤에 숫자하나 붙여주면 보기 편하겠죠?




폴더명을 바꾼 후 엑셀 프로그램을 실행했다 닫습니다. 그리고 레지스트리 편집에서 키보드 F5를 눌러 새로고침을 하면 폴더명을 바꾼 기존 폴더 외 Excel 폴더가 하나 더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Excel : 새로 생성된 폴더
Excel1 : 이름을 변경한 기존 폴더

Excel1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키보드의 Delete키를 눌러 Excel1(기존 폴더)은 삭제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레지스트리의 엑셀 폴더가 새로운 폴더로 교체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엑셀이 느려졌다고 프로그램 삭제/ 재설치를 하기전 몇분 짬내서 초기화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듯 합니다.

Share
Tweet
Pin
Share
No 개의 댓글
Newer Posts
Older Posts

Categories

  • 리눅스 (11)
  • 보험 (18)
  • 생활정보 (71)
  • 아기성장 (6)
  • 하드웨어 (13)

Blog Archive

  • 8월 2019 (43)
  • 6월 2017 (103)

Created with by ThemeXpose